SAFETY & TRUST

소방시설공사, 점검, 소방기구 도·소매

최고의기술과 오랜경력의 노하우로 안전하게 지켜드리겠습니다.

경기도 광명시와 서울시의 애매모호한 경계 (안양천 주변의 월경지 이야기)

페이지 정보

작성자 tyB6q124 댓글 0건 조회 0회 작성일 21-01-08 15:35

본문

Screen Shot 2020-12-19 at 4.03.55 PM.png 경기도 광명시와 서울시의 애매모호한 경계 (안양천 주변의 월경지 이야기)

이 지도에서 가운데에 흐르고 있는 하천은 안양천입니다.

그리고 하천의 서쪽은 경기도 광명시이며,

하천의 동쪽은 서울시 금천구 혹은 구로구입니다.


이 지도만 보면 안양천이 서울시와 경기도 광명시의 경계 역할을 한다고 볼수 있겠죠??


그런데말입니다.

03ef128f22df83d71fecdd5e83ee921c180789c9c3f6389d6a35ea024b325ff6a4ef18cd9debd9c964dc720d144427d2da046272b7e67673033ecf978c32895ffcf843468aae6675a5989b54ff1b24e7bba16cd96974a8179f24eadab927802332a6386608fb351b87db60812605156d.jpeg 경기도 광명시와 서울시의 애매모호한 경계 (안양천 주변의 월경지 이야기)
이 지도를 살펴보자면 경계가 하천을 따라가는 부분도 있지만

중간 중간에 울퉁불퉁하게 고르지 못한 부분이 있는걸 볼수 있습니다. 


따라서 서울에서 안양천을 건넜다고 곧바로 경기도 광명시가 되지 않는 부분이 있을수 있으며

또 광명에서 안양천을 건넜다고 곧바로 서울이 되지 않는 부분이 있는데요.


일단 그부분이 어디인지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1. 경기도 광명시 철산1동

Screen Shot 2020-12-19 at 3.15.08 AM.png 경기도 광명시와 서울시의 애매모호한 경계 (안양천 주변의 월경지 이야기)


광명시 철산동의 가장 북쪽에 해당하는 동네입니다. 

광명에서 목동쪽으로 올라가는 안양천길을 타고 올라가면 

광명대교 지하차도를 지나 고척돔쪽으로 넘어가는 고가차도 타기 직전에 나오는 동네가 바로 철산 1동입니다. 


안양천 기준 서쪽은 철산동이고, 동쪽은 서울 구로구 구로동과 금천구 가산동인걸로 보이지만... 


실제로 지도에서 보이듯이 지금 신구로유수지의 일부구역과 롯데광명 물류센터가 있는 지역은 서울시가 아닌 경기도 광명시입니다.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4101900289121013&editNo=5&printCount=1&publishDate=1994-10-19&officeId=00028&pageNo=21&printNo=2042&publishType=00010 (한겨레 - 광명, 고양 일부 서울시로 편입)


실제로 1995년 무렵에 행정구역 재조정이 이뤄지긴 했으나,

저 안양천 동편 월경지에 사는 10가구가 세금문제 등으로 인해 서울편입을 거절하여 저 구역이 그냥 광명시로 남게된겁니다.


사실 저 롯데물류센터 자리에 대우자동차 정비공장이 있었다는데, 광명시 땅임에도 불구하고 롯데물류센터가 들어서고 한창 공사했을때 정작 소음 등으로 인한 피해는 바로옆 구로1동 주민들이 봤다는게 아이러니죠. 

거기에 직원채용할때 주소상 광명시에 있다는 이유로 직원중 절반을 광명시민으로 채용했으니.... 피해는 서울시가 보고, 이득은 광명시가 보는 상황이죠. 물류센터를 지은 롯데측에서도 주소상 광명시라는거에 개의치 않았는지 현재도 계속해서 월경지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 지역은 광명시 행정력이 닿지 않는다고 합니다. 신구로유수지쪽의 치안은 서울 구로경찰서가 관할한다 하며, 나머지 지역의 수돗물 역시 광명시가 아닌 서울시 관할이라고 하네요.


월경지는 아니지만 서나 개봉동쪽에서 버스를 타고 남부순환로를 지날때 "철산리버빌아파트"라는 버스정류장이 나오는데, 이쪽은 옛날 삼각주마을로 호우때마다 침수가 자주되는 지역으로 유명합니다.

근데 남부순환로 때문에 월경지처럼 다른 지역과 단절된 느낌을 주는 지역입니다. 


2. 서울시 금천구 독산1동


Screen Shot 2020-12-19 at 6.20.07 PM.png 경기도 광명시와 서울시의 애매모호한 경계 (안양천 주변의 월경지 이야기)

위에 철산 1동 월경지와는 반대로 경기도 광명시라고 생각했던 안양천 서편이 서울시인 지역입니다. 

거기에 여기는 더 복잡한게, 월경지에 공장이나 물류센터가 있었던 위의 철산 1동 월경지와는 달리


이쪽은 월경지에도 주거지역이 존재하는 경우입니다. 


안양천 서편에 있는 주공 13단지 일부와 14단지, 독산한신 아파트와 시흥대교 인근의 주택단지가 포함이 되는데요.

정말 쌩뚱맞은건, 저 월경지 북편의 주공 14단지를 지나면 진짜로 경기도 광명시겠지?? 하지만

금천교 주변에서 다시 또 독산동으로 바뀝니다.


사진속 지도 윗편에 있는 독산근린공원은 

광명시 하안3동 소속인 하안주공 12단지와 붙어있으니 당연히 광명시 소속 공원이겠지 하지만

사실 저 공원이 서울시꺼라는건 안비밀... 


이러한 경계때문에 같은 아파트단지 내에서도 주소가 달라지는 현상이 벌어집니다. 
Screen Shot 2020-12-18 at 7.21.15 PM.png 경기도 광명시와 서울시의 애매모호한 경계 (안양천 주변의 월경지 이야기)

1980년대 후반에서 1990년대에 베드타운격으로 지어진 하안주공 아파트 단지는 총 14개의 단지가 있습니다.

대부분의 단지는 광명시 하안동 소속인데, 13단지와 14단지가 정말로 애매한 케이스입니다. 

일단 14단지는 단지 전체가 광명시 하안동이 아닌 금천구 독산동에 위치해있어서 '독산주공 14단지'로 불립니다. 


13단지가 정말로 애매한 위치에 있는데..

저 사진속에 분홍색 경계선을 기준으로 주소가 완전히 달라집니다. 

(참고로 13단지는 다른단지와는 달리 취약계층들을 위한 영구임대 아파트로 지어진 터라 실제 매매거래가 되는 아파트가 아닙니다.)

1301동부터 1313동까지는 경기도 광명시 하안3동입니다.

그러나 나머지 1314동에서 1320동까지는 서울시 금천구 독산1동입니다.


실제로 서울시 노원구 최북단에 있는 수락리버시티 아파트 4개단지중 1,2단지가 노원구가 아닌 경기도 의정부시 소속이라는 사례가 있긴 한데, 이건 그래도 하안주공13단지처럼 한 단지 안에서 행정구역이 달라지는 케이스는 아니니..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3828795


실제로 이쪽지역의 행정구역을 재조정하려는 움직임이 없지는 않았습니다. 

1994년도에 독산1동의 월경지를 경기도 광명시에 편입시키려 했지만 

무려 99.6퍼센트에 해당하는 주민들이 반대 의사를 밝히면서 무산이 되었는데요.


아무래도 자녀 교육문제나 학군 등이 변경될수도 있고, 집값에도 막대한 영향을 끼칠수밖에 없기 때문에 '서울'이라는 꼬리표를 때기 싫었던거죠. 그런데 지금 광명 집값을 보면... 


이때문에 행정적인 불편함 또한 벌어졌는데

이 월경지는 독산1동 소속이지만, 혹시 주민센터에 행정적인 일을 보러 가려면... 

Screen Shot 2020-12-19 at 7.09.00 PM.png 경기도 광명시와 서울시의 애매모호한 경계 (안양천 주변의 월경지 이야기)

독산한신아파트에서 독산1동 주민센터까지 3km이상 떨어져있는데 (주민센터는 홈플러스 금천점 부근에 위치합니다)

오히려 하안3동, 하안4동 주민센터가 더 가까울정도입니다. 

보통 주민센터가 집앞에서 못해도 반경 1-2km정도 있는게 정상인데, 매우 비정상적인 상황이죠. 


그래도 이마트나 노브랜드같은 대형마트가 가깝다는 이점도 있지만.. 문제는 쓰레기봉투를 광명시꺼만 판다는거 ㅋㅋㅋㅋ


하지만 철산1동 월경지와는 달리 광명시를 거치지 않고도 금천구로 가는법이 있습니다.

1호선 금천구청역 서편에 독산한신아파트쪽으로 가는 육교가 설치되어 있고

또 그 위에도 인도교가 있어서 자동차가 아닌 도보를 이용하는거라면 광명시를 거치지 않고도 금천구 본토에 진입할수 있습니다. 


그러면 어떻게해서 이런 월경지가 생기게 된것일까요?? 

IMG_0355.PNG 경기도 광명시와 서울시의 애매모호한 경계 (안양천 주변의 월경지 이야기)


이 사진은 1917년의 안양천 사진입니다. 

이때만해도 안양천은 지금과는 달리 구불구불한 하천이였는데요.


저당시에는 서울시 구로구, 금천구, 그리고 경기도 광명시가 전부 경기도 시흥군이였습니다.


저 지도에서 빨간 동그라미로 친 두곳이 

시흥군 서면 철산리 (지금의 광명시 철산동)

시흥군 서면 하평리와 안현리가 합쳐진 하안리 (지금의 광명시 하안동)


하천 오른쪽 초록색으로 동그라미 친곳이

시흥군 북면 구로리 (지금의 서울시 구로구 구로동)

시흥군 동면 독산리 (지금의 서울시 금천구 독산동)


1949년에 구로리지역이 서울 영등포구에 편입되어 구로동이 되었으며, 63년에는 부천군이였던 안양천 이서지역 (지금의 고척 오류 개봉 온수동)지역까지 영등포구에 편입이 되었죠. 

동면 독산리 역시 1963년에 영등포구에 편입이 되어 독산동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1980년에 이 지역은 구로구로 따로 분리가 되었고,

1995년에는 독산동을 포함한 구로구의 남부 지역이 금천구로 분구가 되었죠. 


사실 안양천 서부에 있었던 광명리, 철산리, 하안리 지역 (지금으로 치면 현 광명시에서 소하동을 제외한 지역)도 1963년에 서울 편입이 계획되어 있었습니다. 


이를 대비한건지 1970년대에는 이들지역의 통화권이 서울통화권으로 편입되었는데..

광명시가 경기도임에도 불구하고 지역번호가 경기도의 031이 아닌 서울 지역번호인 02인 이유죠. 

지금도 광명시 자체에 전화국이 없고, 광명동 철산동 등 북부지역은 서울 개봉전화국 관할이며 (02-261x, 02-268x번대 국번) 하안동, 소하동 등 남부지역은 KT 금천지사와 신금천지사 관할 (02-80x, 02-89x 번대)입니다. 

여담으로 신금천지사가 앞서 언급한 독산1동 월경지의 독산한신아파트 바로 옆에 위치해있습니다. 


실제로 도시 전체 지역번호가 02인 경우는 과천시도 있는데, 

과천시 같은경우 1980년대에 정부청사 별관이 과천시에 들어서게 되면서 기존 안양시 지역번호에서 분리된 케이스라

전화국 설립시점부터 02였던 지역은 광명시가 유일합니다. 


1980년에 영등포구에서 구로구로 분리되기 이전, 광명의 광명리, 철산리 지역을 구로구에 편입 시키는것도 추진이 되었으나.. 


서울 인구집중 억제정책에 따라 무산이 되고,

결국 1981년에 서면의 중심지였던 소하리 지역을 포함하여 경기도 광명시가 만들어졌죠. 


하여튼 지도속의 구불구불했던 안양천은 1970년대에 직경화공사를 하여 지금처럼 직선의 형태가 되었지만,

이미 행정구역이 직경화공사 전 기준으로 되어버린 터라 저런 월경지가 발생해버렸고


이것을 뒤늦게 되돌리려고 수많은 노력을 기울이긴 했으나

앞서 언급했듯이 독산1동 사례처럼 주민들이 집값이나 학군등의 이유로 광명시 편입을 반대하는 등 여러가지 변수에 부딪히면서 결국 저러한 월경지가 탄생한 것입니다. 


결국은 높으신분들의 행정착오와

거기에 사는 어른들의 사정으로 이렇게 된거라고 결론을 내릴수 밖에 없네요.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하고

내용에 만족하신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은행식초 은행식초

은행식초 은행식초

은행식초효능 은행식초효능

은행식초효능 은행식초효능

은행식초만들기 은행식초만들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고객센터 051-816-0078 / 080-2200-119